최근 투자에 대해 생각이 많다.
직접적 투자: 직접적인 수익으로
간접적 투자: 간접적인 수익으로 진행
(듣고 생각해보니 괜찮은 방법인 것 같다.)
- 부동산: 한다면 경매
(부동산에 쪽에 대해서 잘 모르고, 책을 조금씩 읽는 단계이며, 국내에서는 반드시 언젠가는 전세 or 청약, 토지 등 하면서 알아야 하고 할 것이 때문)
- 주식: 안정적이고 단타가 아닌 장기로(ex) ETF QQQ, TQQQ, 금... 더 좋은게 뭐가 있을까?)
- 복권: 주기적으로 매주 구매 (이보다 값싸고 공격적인 투자가 있을까? 도박이라면 도박이지만 토토는 안한다.)
- 또 뭐가 있을까????????
[포스팅 및 개발 목적]
성인이 된 이후 부터 실 줄기같은 희망으로, 거의 매주 구매를 했던 것 같다. 결과는 로또의 경우는 5천원 3주 연속 그리고 1주 5게임 중 2개 천원 당첨(1만원)이 전부다.
장난으로, 기분좋은 한주를 시작하는 마음으로 구매를 한다라는 사람들이 있다고 들었다. 하지만, 운이 좋아야 한다. (당첨되고 싶다.)
최근(약 2달전) IT 엔지니어 유튜버 포프님의 영상 중 슈퍼볼(국내는 로또, 해외는 슈퍼볼로 보면 된다. 차이점은 당첨자가 없는 경우, 당첨금액이 누적됨)을 자신이 정해놓은 당청금액의 이상인 경우 구매하도록 Push 알림을 설정해놓았다고 한다.(Azure, Devops, IFTTT 등)
포프TV - Push 기반 인생 자동화 URL : youtu.be/tdzM65JCWfE
IFTTT (If This Then That) 설명 참고 URL : youtu.be/TPg8fxIflMA
올해 4월에 온라인으로 로또 및 연금복권으로 구매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이후 직접적으로 복권방가서 사는 횟수가 줄어들어 편해졌다. 그리고 포프님 영상을 보며 나도 저렇게 비슷하게 할 수 있지 않을까? 라며 하고 싶은 생각만(생각만.... 행동이 중요한데;; ㅋㅋㅋ) 했다. 그리고, 주말인 오늘 (2020.07.26 일요일) 평소와 같이 집에서 누워서 예능을 보고, 낮잠을 자면서 시간을 사용했겠지만, 문득 카페에서 영화라도 보자 하면서 집을 나섰다.(영화 채널에서 염력과, 최초로 2년전 영화인 업그레이드를 해줬다.) "업그레이드 저거라도 카페에서 봐야겠다"
노트북으로 한쪽 왼쪽에는 영화를 재생하고, 오른쪽에는 웹서핑 및 하고 싶은게 뭘까 뭐라도 해야하는데 문득 난수와 Seed에 대해 궁금해졌다. 그러면서 복권을 내가 직접 랜덤 값을 뽑는 것을 만들어야겠다 생각이 났다.
물론 복권 사이트 및 기계로 랜덤을 할 수 있으며 이전에 안해보것이 아니다. 하지만 내가 직접 만들어 중복제거를 하고 반복되는 패턴이 아니고, 나도 모르게 숫자가 나온 것으로 앞으로 복권을 구매하자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코딩하고 포스팅을 한다.
우선 체계적인 계획같은 건 없다. 하지만 간단하게라도 만들어보고 개발공부를 하며, 내가 원하는 것을 만들기 위한 첫걸음이다. 간단하지만, 복권번호 자동생성 프로그램 개발한다.
나는 앞으로 매주 복권에 5천원(로또 3천원, 연금복권 2천원)을 투자할 것 이다. 왜냐, 일주일에 5천원은 담배나 커피에 비해 투자하는 금액이 저렴하고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발 목표]
1. 로또복권 번호 자동생성 프로그램 개발
2. 연금복권 번호 자동생성 프로그램 개발
사용해보다 괜찮으면 살면서 나의 에너지를 줄여주거나, 효율성을 올려주는 것이 있으면 좋겠다 하는 것들을 개발해 나갈 것이다. 복권번호 자동생성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만들고, 역시나 사용해보다 결제하도록 나에게 알려주는 push 알람을 오도록 개발도 추후에 개발할 의향이 있다.
1차. 간단하게 랜덤으로 번호를 생성해준다. 그리고 batch로 복권번호 자동생성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한다.
(batch로 .py를 실행해도 되지만 느낌대로~)
(실행방법)
- pyinstaller로 .exe 생성 -> pyinstaller -F *.py
- batch로 exe 실행
1) 로또:
- 게임 수를 선택할 수 있게하여 게임 수에 맞게 번호를 생성하게 할 수 있지만, 나는 매주 3게임(3천원)을 구매할 것이기에 3게임 고정
- (공통) 랜덤 어떻게 생성?
로또는 0.5초 간격으로 랜덤값(난수)을 생성한다.
- 번호가 마음에 안드는 경우 re 1번
2) 연금복권:
- 연금복권은 조가 5개이며, 각 조당 000000 ~ 999999 번호가 있다.
- 연금복권 당첨방식은 5개의 조중 1조만 1등이고, 번호만 맞은 경우는 2등이다.
ex) 당첨조 1조 이며 당첨번호 123456 인 경우 1조의 123456은 1등, 나머지 조의 123456은 2등
- 동일한 번호를 5개로 구매하는 것보다, 2개를 구매하여 1등과 2등을 2개를 노리는 것이다.(5개를 구매하여 2개 같이 되는 확률을 높이는게 맞지만, 매주 총 구매게임이 5게임이므로 나눴다.)
- 연금복권은 매주 2게임(2천원) 구매 그러므로 조 1~5 중 2개, 000000 ~ 999999 범위에서 랜덤으로 숫자를 뽑음
N차. (미정)
- 번호가 마음에 안드는 경우 재추첨 기능
- Seed 적용 ex) int(time.time() % int(time.time())*10000000000000000)
#삭제 이유: python random.random은 0~1 사이의 난수로 Seed를 별도로 안주어도 될 것으로 판단함 2020/08/07
- 1차 예외처리
- 로컬 PC에서 매주 정해진 요일에 실행
- 매주 동행복권에 충전해서 결제일을 알리기 위한 Push 알람(SMS, App, E-mail 중 1개, 셋중 하나 만들어보고 추후 결정할 듯)
- 본 프로그램으로 당첨률, 낙첨률 계산
[마무리]
갑자기 뜬금포로 작성해서 두서가 없지만, 간만에 생각을 글로 옮기는 것을 해보니 나름 재미가 있는 것 같다. 앞으로도 재미있는 것들을 작성하는 기회가 많았으면 좋겠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import random, os, time
def Lotto():
print("################################\n####### hackyu\'s Lotto #########\n################################\n")
loop_count = 3
result = []
for i in range(loop_count):
temp = []
while True:
time.sleep(0.5)
if len(temp) == 6:
break
else:
temp2 = random.randint(1,45)
if temp2 not in temp:
temp.append(temp2)
temp.sort()
if temp not in result:
result.append(temp)
for i in range(len(result)):
print(i+1,"번째 게임 결과: ", result[i])
def Pension():
print("\n\n################################\n####### hackyu\'s Pension #######\n################################\n")
table = [1,2,3,4,5]
temp_table = random.choice(table)
print("첫번째 조: ", temp_table)
table.remove(temp_table)
print("두번째 조: ", random.choice(table))
print("자동생성 번호:", str(random.randint(0, 999999)).zfill(6))
if __name__ == "__main__":
Lotto()
Pension()
os.system('pause')
|
cs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ontab KST 설정 (0) | 2021.01.03 |
---|---|
복권번호 자동생성 프로그램 제작(Python) 두번째 이야기 (Push) (0) | 2020.08.09 |
JBoss Wild Fly SSL 설정 (JBoss WildFly SSL Setting) (0) | 2020.04.20 |
Ubuntu 18.04 Sublime Text 설치 (0) | 2019.12.05 |
Ubuntu Vi or VIM 꾸미기 (0) | 2019.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