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ubuntu의 경우 UTC, DST 등 KST가 아닌 시간설정이 되어 있다.
(ubuntu 20)
CLI로 tzselect, 편집기(vi, vim, gedit 등)를 통해 .bashrc or .zshrc에 TZ='Asia/Seoul'; export TZ와 같이 세팅하여 다시 CLI에서 date를 하여 KST가 설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리눅스 환경에서 작업 스케줄러로 사용되는 crontab의 경우 KST로 설정하여도 설정한 시간대에 실행이 되지 않는다면, crontab의 경우 이전 UTC, DST 등의 시간으로 설정이 되어 있기에 원하는 KST 시간대에 동작을 안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sudo dpkg-reconfigure tzdata #여기서 한번더 kst 설정을 해주자.
$ systemctl restart cron.service #cron.service 재시작
추가적으로 현재 개발중인 과정에서 zsh을 사용하여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의 경우
~/.zshrc에 alias를 하고, 환경변수 export 설정을 해놓았다.
하지만 crontab의 경우 특정 사용자의 환경설정 파일의 내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기에
/etc/environment에 시스템 전체의 환경변수로 설정 후 사용하면 된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OS /home 디렉토리 사용기(결국사용안함) (0) | 2021.01.03 |
---|---|
복권번호 자동생성 프로그램 제작(Python) 두번째 이야기 (Push) (0) | 2020.08.09 |
복권번호 자동생성 프로그램 제작(Python) (0) | 2020.07.26 |
JBoss Wild Fly SSL 설정 (JBoss WildFly SSL Setting) (0) | 2020.04.20 |
Ubuntu 18.04 Sublime Text 설치 (0) | 2019.12.05 |